2023년 6월 6일 화요일

[무선통신 시스템 설계] 6강. 직접변환 송신기 (Direct Conversion TX)

[무선통신 시스템 설계] 6강. 직접변환 송신기 (Direct Conversion TX)

-------------------------------------------------------------------
[일러두기] 이 글은 아래 강좌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일부 내용은 저의 생각 담아 첨삭하였습니다.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 강좌 원본을 꼭 함께 봐주시기 바랍니다.

[Radio System Design] Module 6. TX Direct Conversion / David S. Ricketts

함께 공부한다고 여기시고 아래 글에 오류가 있다면 가차없는 지적 바랍니다.
-------------------------------------------------------------------

개요

  • 직접변환 송신기의 구조(Direct Conversion Architecture)
  • 단점 (Non-Idealities)
    - 반송파 샘(Carrier Leakage)
    - 진폭과 위상의 불균형(Amplitude and Phase imbalance)
    - 위상과 주파수의 불균형(Phase and Frequency imbalance)

직접변환 송신기 구조(Architecture)

송신기

  • 신호파를 공간 복사(전파) 가능한 고주파에 얹어 놓는 장치
  • 주파수가 다른 두 아날로그 신호 섞는 장치 (Mixer)

I/Q 직접변환(Direct Conversion) 송신기의 기본구조

  • 국부 발진기(LO, Local Oscillator): 직교 반송파 생성
  • 반송파 믹서(Mixer): 신호파에 반송파 곱하기(Multiply)
  • 덧셈기(Adder): 두 직교 반송파와 곱해진 전파신 신호파 합침(Adder)

국부발진기에서 고주파(라디오 파)를 생성하여 신호파와 섞는다.

  • 직접변환: 단번에 섞어 고주파 생성
  • 직교(I/Q) 반송파: 고효율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파

공중에 복사하려면 높은 전력이 필요하다.

  • 국부 발진기 전력을 높일 것인가?
  • 변조된 신호의 전력을 높일 것인가?
  • 단번에 고전력 만들기 어렵다.
  • 다양한 전력증폭기 (C, D, E 급)

  • 왜 현대 무선기기는 I/Q 인가?
    - 직교 반송파 사용으로 고효율 변조 방식이 가능
    - 변조 신호를 만들기 위한 각종 중간 과정 불필요
    - 고안정, 고정밀, 고주파 국부 발진기 (반도체 집적회로)
    - 고주파, 고효율 믹서 (Transistor/FET)
    - 고속 디지털/아날로스 신호 변환기 (ADC, DAC)
    - 고속 곱셈기 내장 소형 마이컴 (Micro-controller, CPU)
  • 고효율 변조방식(Modulation)의 수학적 접근
    - SSB: 측파대 억제
    - PSK: 좁은 대역폭, 다중비트 심볼

--------------------------------------------------------------------------------------------

[주] Frequency Division 방식 I/Q 믹서

  • Tayloe Detector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믹서
    - 직교 발진기로 디지털 카운터 사용
  • PRODUCT DETECTOR AND METHOD THEREFOR, Patent: US 6,230,000 B1, May 8, 2001 [Link]
  • Ultra Low Noise, High Performance, Zero IF Quadrature Product Detector and Preamplifier  By Dan Tayloe [Link]
  • 대중을 위한 소프트정의 라디오 [링크]
--------------------------------------------------------------------------------------------

[주] 변조(Modulation), 주파수 변환(Frequency Conversion), 키잉(Keying) 을 구분해 보자.

--------------------------------------------------------------------------------------------

반송파 샘(Carrier Leakage)

  • 믹서를 거쳐 변조(변환)된 신호에 국부 발진기 세력이 새나감.
  • 두개의 믹서와 합: I/Q 직접변환 송신기에서 새나감 요인이 늘어난다. 

I/Q 직접변환 송신기에 반송파 샘이 있을 경우

DC 오프셑 이 생기는 문제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수신측 성상도가 사선 방향으로 흐트러짐이 생긴다.

발진기 불평형(Imbalance) 문제

국부 발진기에서 생성된 I와 Q 반송파의 신호는 정확히 90도(π/4)의 위상차가 나야 한다.

------------------------------------------------------------------------

[주] 평형 변조(Balanced Modulation):

  • 진폭 변조에서 반송파 없는 양측파대 신호를 얻는 기법
  • SSB 는 양 측파대에서 한 측파대를 걸러내는 방식
  • 무선 음성 통신사(아마추어 무선사 포함)라면 귀따갑게 들어 봤을 바로 그 "평형변조"다.
  • Generating AM and DSB-SC with a Double-Balanced Diode Ring Mixer / Modulator [Link]

-------------------------------------------------------------------------

반송파 샘은 두 채널에 공히 일어 났으나 한 채널의 불평형이 다른 채널에 침입한다.

불균형이 수신측 성상도에 미치는 영향

  • 편이(shift)에 그치지 않고 왜곡(distort)이 일어난다.
  • 반송파 샘에 비해 더욱 좋지않다.

위상과 주파수 불안정(Phase and Frequency Instablity)

  • 온도가 가장 큰 원인
  • 단기간내 위상 불균형-> 잡음
  • 장기간 주파수 불균형 -> 주파수 편이

위상 불균형/불안정

  • 송수신기 내부 잡음의 원인
  • 성상도퍼짐(blurring)의 원인
  • 위상 안정성: I/Q 방식 직접변환 무선장비의 가장 중요한 요소

---------------------------------------------------------------------

출력 능동 제어(Adaptive Power Control)

  • 고주파 전력 증폭
    - 전력 증폭기 이득: 20~30dB
    - 무선 기기의 가장큰 전력 소모/열원
  • 중간 전력 증폭기(predriver)
    - 고주파의 종단 증폭의 어려움
    - 선형 전력 증폭이 아님: 낮은 주파수 전력 증폭 후 최종 증폭
  • 능동 출력제어: 휴대 무선기기의 전력 관리 방법
    - 중계기에서 전계강도 측정을 근거로 단말기 출력 제어(휴대전화)

----------------------------------------------------------------------------

현대적인 무선기기(휴대 무선 단말기)는 I/Q 직교 반송파를 이용한 직접 변조기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다음 편에서는 다단 변조 주파수 변환 방식을 알아본다. 고전적인 헤테로다인(heterodyne) 방식이다.

-----------------------------------------------------------------------------

[질문 1] 최신 SDR 방식 무전기는 왜 작을까?

[질문 2] 공개된 소스와 회로도

---------------------------------------------------------------------------------------------------

<처음><이전><다음>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