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feed or not to feed? That is the question. When is a black hole eating and when is it taking a rest? The black hole candidates that we observe in the sky aren't always dark and they don't always have bright accretion disks either. Black holes change in brightness and emission wavelengths depending on how they're eating.
(몸집을) 불리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블랙홀이 물질들을 빨아들일 때는 언재고 쉴때도 있을까? 우리가 주시하고 있는 블랙홀의 후보 중에는 항상 검거나 강착 원반에서 항상 빛을 내고 있지 않다. 그 블랙홀이 무엇을 흡수하고 있는지에 따라 밝기와 방출 파장이 변한다.
A better question to ask might be, how does a black hole actually reach its food?. We know that if anything strays too close, the black hole will gobble it up. Almost by definition, that's what black holes are. If a star, a cloud of gas, salmon, spacecraft or an astronaut venture too close to a black hole, they'll be pulled inwards, as well, into the accretion disk.
블랙홀이 어떻게 흡수할 물질들에 접근하는지가 더 궁금하다. 가까운 것들은 뭐든 빨아들인다고 이미 알고 있다. 블랙홀의 정의가 바로 그런 것이다. 별이 됐든, 가스 구름이든, 연어든, 우주선이든 심지어 우주비행사든 블랙홀에 가까이 가기만 하면 강착원반이 되어 안으로 빨려 들어간다.
The emissions from the accretion of material onto the black hole causes the black hole's accretion disk to become visible across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rom long radio wavelengths to short X-rays and gamma rays.
블랙홀로 들어붙는(흡입되는) 물질은 강착원반이 되는데 이곳에서 긴파장의 전파에서 아주 짧은 파장의 X 선과 감마선에 이르기까지 전자기 스펙트럼의 넓은 범위에서 방출이 일어난다.
It's only when a black hole is feeding that astronomers are able to investigate the type of food that it's feasting on. It could be sipping on a star, nibbling on a nebula, digesting dust or even slurping up spaghettified space travelers.
블랙홀이 몸집을 불리는 동안에(강착원반이 생성되므로) 비로서 천문학자는 빨려들어가는 물질이 무엇인지 관측할 수 있다. 별을 마시거나 성운을 홀짝이거나 먼지들을 소화중일지 모르고 심지어 스파게티화된 우주비행사를 우걱거리는 중일 것이다.
An actively accreting black hole can provide astronomers with the opportunity to test and g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physics governing the processes which feed the black hole including opportunities to put general relativity to the test in the strongest gravitational environments known to science.
왕성하게 활동하는 블랙홀은 천문학자들이 이제껏 과학계에 알려진 강력한 중련환경 하에서 일반상대론을 포함한 흡착의 과정을 지배하는 물리학의 원리를 시험해 보고 더많은 이해를 취할 기회를 제공한다.
---------------------------------------------
One of the effects astronomers measure is the Doppler Shift that occur due to the rotation of the accretion disk. If we look at a disk up close, we can see that one side is moving towards us while the other side is moving away. As the disk spins, the light emitted from the side moving towards us is blueshifted because the light wavelength is compressed, while the photons we receive from the side moving away from us are redshifted. Their wavelengths are elongated.
천문학자들이 관측하는 현상 중 하나가 바로 도플러 편이다. 강착원반의 회전으로 인해 방출되는 빛의 편이가 일어난다.
----------------------------------------------
Observing accreting black holes is a major test in determining the veracity of competing scientific models. The corona, for example, is thought to be described by the Lamp Post Model or the Sandwich Model. My stomach already likes the sound of the sandwich model better.
활동하는 블랙홀을 관측하여 다양한 물리이론들의 정확성을 시험해 볼수 있다. 일테면 코로나에 등대불 모형이 맞는지 샌드위치 모형이 맞을지 확실히 해두기 위해 강착 원반의 관측이 필요하다.
A black hole's jet also comes in two flavors and observations can help u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ut first, we need to learn about black holes that aren't eating.
블랙홀의 분출 역시 두 가지 이론이 있고 관측으로 그 두 이론사이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흡입하지 않고 있는 블랙홀에대해 더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
A hungry black hole drifts through space with nothing to eat. Since it isn't emitting light, black holes that don't have enough food are nearly impossible to detect but scientists are building better tools all the time. However, the reason these drifting dark spheres are interesting is becaus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hem.
배고픈 블랙홀이 아무것도 먹지못하고 우주를 떠다닌다. 먹을 것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지 않아서 [강착원반이 형성 되지 못하므로] 빛을 방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검출(관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런 떠 다니는 검은 구의 수가 상당히 많다.
------------------------------------------------
Mathematically speaking, there are many more black holes out there than the ones we see. Simply because black holes are difficult to see. On the British television series, Red Dwarf, the computer Holly says, 'The thing about a black hole, its main distinguishing feature, is it's black! And the thing about space, and your basic space color is it's black. So how are you supposed to see them?'.
이론적인 계산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그저 블랙홀이 관측하기 어렵기 때문은 아니다. 영국의 티브이 시리즈 '붉은 왜성'에서 인공 지능 홀리가 한 말이 있다.
'블랙홀의 주된 특징이 검다는 것이다! 그런데 우주의 색 또한 검다. 그렇다면 블랙홀을 어떻게 보겠다는 거야?'
Well, it's hard but not impossible to find these isolated black holes. Since black holes have a strong gravitational field, they create large curvature in space-time around them. Curved regions in space time can act as lenses which can reveal a black hole due to the warped background images of distant stars and galaxies.
이런류의 떠돌이 블랙홀을 관측하기는 어렵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블랙홀은 강력한 중력장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변의 시공간을 크게 왜곡 시킨다. 굽은 시공간은 마치 렌즈처럼 작동하여 뒤쪽으로 떨어진 별과 은하의 영상이 앞으로 드러난다. [중력렌즈]
----------------------------------------------------------------
In fact, a hungry black hole gives astronomers the best evidence for the foods they dine on. For example, if a black hole is in a wide binary system far from its companion star, we would distinguish between the star's light and the light produced by the accretion disk. A wide binary system like this can tell us a lot about the black hole. Its mass and, therefore, its size, just to give you an example.
사실 천문학자들은 배고픈 블랙홀을 관측하여 블랙홀이 무엇을 먹는지 추정할 증거를 찾는다. 예를 들어 만일 블랙홀이 동반성에서 아주 멀리 떨어져 있다면 동반성의 빛과 강착원반의 빛을 구분할 수 있다. 동반성과 구분되어 관측 된다면 블랙홀을 더 잘 알 수 있다.
But if the black hole is close enough to its companion, the material it draws inward can get so hot and so bright that they become brighter than the parent star itself. The light being emitted from the star become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the light from the disk.
하지만 블랙홀과 동반성이 너무가 가깝게 놓여 있다면 빨려들어가는 물질들의 온도가 굉장히 뜨겁고 밝아서 별에서 나온 빛인지 강착원반에서 나온 빛인지 구분하지 못하게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