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7월 24일 금요일

05.03 - 블랙홀의 동반성(Black Hole Companions)

05.03 - 블랙홀의 동반성(Black Hole Companions) [커세라 강의페이지]


Black holes can have low mass or high mass companion stars. The type of companion determines how the mass is transferred. Meaning, how the black hole is fed.

블랙홀의 동반성은 고질량별이 될 수도 저 질량별이 될 수도 있다. 동반성의 종류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블랙홀로 질량이 전달될지 결정된다. 말하자면 어떤 식으로 몸집을 불리는지 알 수 있다.


High mass stars generate significant stellar winds, which can transfer large amounts of mass onto the black hole.

고질량별은 상당량의 항성풍을 품어낸다. [뜨거운 고질량 별은 두터운 대기에 엄청난 양의 하전입자를 가지고 있다.] 항성풍에 실려 많은 양의 질량이 블랙홀로 이전된다.


On the other hand low mass stars have much weaker winds. So, in order for them to feed the black hole, they need to be in perilously close proximity.

저질량별의 항성풍은 약하다. 블랙홀에 공급되기 위해서 저질량별은 위험하리 만큼 근접해 있다.

Our black hole binary Cygnus X-1, contains a high mass star. This companion to Cygnus X-1 is a blue supergiant variable star called HDE 226868, or as I like to call it, lunch.

우리가 살펴보고있는 쌍성계 블랙홀 시그너스 X-1의 동반성은 고질량 별이다. 이 동반성은 청색거성의 변광성으로 HDE226868 로 명명된 별이다. 나는 이 별을 [블랙홀의] 점심꺼리라고 부르련다.


I say this because lunch orbits the central black hole at a measly 0.2 astronomical units, which is half the distance from the sun to mercury, and this is a supergiant star.

이 점심꺼리는 블랙홀을 공전하는데 궤도반경은 0.2 천문단위다. 이는 태양에서 금성까지 거리의 절반에 불과하다. 이 동반성은 초거대 별이다. [청색 초거성이 블랙홀에 바짝 붙어 있다.]

-----------------------------------------------------
[인터뷰]
How can a star be like a vampire? [커세라 페이지]
흡혈귀가 된 별

Interview with Dr. Craig Heinke,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Alberta
앨버타 대학의 교수 크레이그 하인케 박사

These stellar vampires would be a star that is kind of dead by itself, but is sucking the life from another star.

죽어서 다른 별을 빨아먹는 흡혈별이 있어요.

If you have a binary star which consists initially of a high-mass star, and then another star, it could be either high or low mass, and the high-mass star reaches the end of its life, explodes, and becomes either a black hole or a neutron star now. In certain circumstances, these two stars we brought close enough together that the black hole or the neutron star or even a white dwarf can tear material off of the edge of the other star.

처음에는 이중성계를 이루다가 한 별이, 질량이 크던 작던, 질량이 큰 별이 수명을 다해 폭발하죠. 그리고 나서 블랙홀이 되던가 중성자 별이 됩니다. 어떤 요인으로 인해 (쌍성계의) 두별이 가까워지게 되는데, 충분히 가까워지면 다른 한 별의 물질들을 뜯어 먹기 시작하죠. 이런 현상은 블랙홀, 중성자별 혹은 백색왜성에서도 일어나요.

This happens when they're so close together that the gravitational force from the compact object, on the nearest edge of the other star is as strong as the gravitational force from that star on its own material.

이런일은 두별이 아주 가까워져서 밀집된 천체의 중력이 아주 강력해 졌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The material kind of leaks over, its kind of pulled over. This material then funnels down through what we call an accretion disk down towards the black hole or neutron star. Of course, if it's a black hole, then we don't know anything that happens once it passes the event horizon.

[동반성에서] 삐져나온 물질들을 [조밀해진 별이] 끌어당깁니다. 이 물질들은 블랙홀 혹은 중성자 별을 향해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데, 이 깔때기 역활을 하는 것을 강착 원반이라고 합니다. 물론 그게 블랙홀이면 물질들이 사건의 지평선을 넘는 순간 우리는, 아무것도 관찰할 수 없죠.

But as it funnels down towards it, it's brought up to very high velocities and very high energies by the gravitational force of this black hole for instance and then as it as it funnels down, it releases a huge amount of that energy as visible radiation and X-ray radiation that we can see from far away.

하지만 블랙홀의 아주 강력한 중력 덕에 깔때기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속도가 아주 빠르고  높은 에너지를 가지게 되요. 빨려들어가며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냅니다. 가시광 뿐만 아니라X-선 복사도 일어나서 우리가 멀리서도 빨려 들어가는 물질들을 볼 수 있죠.

-----------------------------------------------------

댓글 없음:

댓글 쓰기